대한민국의 에너지 안보와 긴급 구조 전환
2025-06-19
200
본 보고서는 최근 중동의 전쟁으로 인한 국제 유가 변동이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외부 자원 공급 충격에 대한 국가적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에너지 구조 전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탐구조는 먼저 객관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한민국의 석유 자급률을 산출하고, 원유 수입 경로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분석하여 현재 에너지 시스템의 구조적 취약점을 규명하였다. 분석된 취약점에 대응하기 위해서 탐구조는 단기적 위기관리 방안과 중장기적 구조 전환 로드맵을 구분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단기 대응 방안으로는 전략비축유 방출, 정유사 물량 조정, 필수 부문 차등 공급 등 단계별 계획을 수립하였다. 중장기 방안으로는 국립기상연구소의 '풍력기상자원지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의 해상풍력 중심의 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안정적인 기저부하를 위한 원자력을 세 축으로 하는 '재생-저장-원전' 삼각 구조 전환 로드맵을 도출하고, 그 과정에서 예상되는 현실적 제약 조건과 해결 방안을 제안하였다.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승환김천고등학교 / 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