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에너지 안보와 구조 전환
2025-06-19
49
본 보고서는 최근 중동 지역 무력 충돌로 인해 급등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제유가가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살펴보고, 추후 유사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피해를 완화하기 위한 에너지 구조 전환을 제시하였다. 석유 자급률을 계산하고, 해상 초크 포인트 의존도를 비교해 현재 상황으로 인한 석유 공급의 차질로 인해 빚어질 위험성을 명시하였다. 또한 에너지 자원 공급 제한으로 인한 위기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응책을 단기, 중장기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단기 대응으로 의료와 비상 발전 연료 같은 필수 부문 차등 공급, 정유사 수출 물량 조정, 전략비축유 탄력 방출을 제안하였다. 중장기 해법으로는 지역 별 (제주, 신안, 울산 등) 해상풍력 허브, 수계 아연전지 기반 대용량 저장 시스템, 고분자 전해질 수전해 셀을 이용한 분산형 수소 인프라, 그리고 원자력 중심 기저 발전 확대를 결합한 ‘재생-저장-원전’ 구조 전환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승환김천고등학교 / 학생